티스토리 뷰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입니다. 파이썬으로 작성했고 Level_01 입니다.
주피터 노트북 마크다운 설명을 보십시요.
문제 : 폰켓몬¶
문제 설명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 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실에 총 4마리의 폰켓몬이 있고,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3번, 1번, 2번, 3번]이라면 이는 3번 폰켓몬 두 마리, 1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때, 4마리의 폰켓몬 중 2마리를 고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
- 첫 번째(3번), 두 번째(1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세 번째(2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이때, 첫 번째(3번) 폰켓몬과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은 한 종류(3번 폰켓몬 두 마리)의 폰켓몬만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방법들은 모두 두 종류의 폰켓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예시에서 가질 수 있는 폰켓몬 종류 수의 최댓값은 2가 됩니다. 당신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가지길 원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포함해서 N/2마리를 선택하려 합니다. N마리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아, 그때의 폰켓몬 종류 번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입니다.
- nums의 길이(N)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항상 짝수로 주어집니다.
- 폰켓몬의 종류 번호는 1 이상 200,000 이하의 자연수로 나타냅니다.
-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도,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 개수의 최댓값 하나만 return 하면 됩니다.
- 입출력 예
nums | result |
---|---|
[3,1,2,3] | 2 |
[3,3,3,2,2,4] | 3 |
[3,3,3,2,2,2] |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6마리의 폰켓몬이 있으므로, 3마리의 폰켓몬을 골라야 합니다.
-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고르기 위해서는 3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 4번 폰켓몬 한 마리를 고르면 되며, 따라서 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6마리의 폰켓몬이 있으므로, 3마리의 폰켓몬을 골라야 합니다.
-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고르기 위해서는 3번 폰켓몬 한 마리와 2번 폰켓몬 두 마리를 고르거나, 혹은 3번 폰켓몬 두 마리와 2번 폰켓몬 한 마리를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최대 고를 수 있는 폰켓몬 종류의 수는 2입니다.
알고리즘¶
- 이 문제는 알고리즘보다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석만 제대로 하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 nums의 종류와 N/2 중에서 작은 값이 결과가 되는 것을 이해하면 문제 해결은 쉽게 됩니다.
- nums의 종류는 데이터 형을 집합형으로 바꾸고 그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 set(nums) : list -> 집합형 데이터로 변환
- set_nums = len(set(nums)) : 집합형 데이터의 길이 = 종류
- nums의 종류는 데이터 형을 집합형으로 바꾸고 그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 입출력 예 1
- nums의 종류는 3가지 / N/2 = 2 : 반환되는 값은 작은 값인 2입니다.
- 입출력 예 2
- nums의 종류는 3가지 / N/2 = 3 : 반환되는 값은 작은 값(같으므로 아무거나)인 3입니다.
- 입출력 예 1
- nums의 종류는 2가지 / N/2 = 3 : 반환되는 값은 작은 값인 2입니다.
a = {1, 2, 1, 3, 1, 4}
a
len(a) # 집합형일 때 길이를 구해봅니다.
a = 3
b = 4
c = max(a, b)
d = min(a, b)
c, d
제출한 코드입니다¶
def solution(nums):
a = int(len(nums) / 2)
set_nums = len(set(nums))
return min(a, set_nums)
datas = [[3,1,2,3], [3,3,3,2,2,4], [3,3,3,2,2,2]]
for data in datas:
print(solution(data))
'pythonCode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_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_210719 (0) | 2021.07.19 |
---|---|
프로그래머스_3진법 뒤집기_210718_02 (0) | 2021.07.18 |
프로그래머스_숫자 문자열과 영단어_210718 (0) | 2021.07.18 |
프로그래머스_약수의합_210717 (0) | 2021.07.17 |
프로그래머스_음양더하기_210717 (0) | 2021.07.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AI_고교수학
- 텐서플로우
- 파이썬
- 미분
- checkpoint
- image depict
- Python
- 변화율
- 미분계수
- prompt
- programmers
- GPT
- 로피탈정리
- LangChain
- streamlit
- programmers.co.kr
- multi modal
- 챗봇
- 도함수
- TensorFlow
- Chatbot
- 랭체인
- 미분법
- 약수
- FewShot
- ChatGPT
- LLM
- 프로그래머스
- RAG
- 고등학교 수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