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수학 학습에 대해 생각해본 것을 적어봅니다. 이 글은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기에 저와 의견이 다른 분들도 있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혹시 의견이 다르시더라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도 있구나 하고 생각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작년, 2020년 머신러닝과 딥러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때 손실함수니 비용함수니 하면서 계산하는 식을 보면서 행렬의 곱셈과 벡터의 내적, 이차함수의 미분이 사용되었습니다. 결과를 알고나서 수학 이론을 살펴보니 왜 저리 쉬운 것을 생각해내지 못한 걸까? 왜 우리가 먼저 저런 것을 발견하지 못했을까? 우리는 저런 것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걸까 하는 여러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의 수학 학습법을 곰곰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름대로 이유를 찾았습니다. 틀렸..
몇 년 전 번역서인 “컴퓨터 개론”에 나온 연습문제를 봤습니다. 그리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1단원 연습문제입니다.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 듯하여 옮겨 적어봅니다. ch1. Introduction 1. 우리 사회는 컴퓨터 혁명이 없었을 경우의 사회와는 다른 모습일 것이라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모습은 컴퓨터 혁명없이 도래한 사회에 비해 더 나은 사회인가? 아니면 더 나쁜 사회인가? 사회에서의 지위에 따라 이 대답은 달라질 것인가? 2. 기술의 기초를 이해하려는 노력없이 오늘날의 기술 사회를 살아가도 좋은 것인가? 예를 들면, 기술을 어떻게 지원하고 사용할 지에 대해 투표권을 갖는 민주사회의 구성원들이 그러한 기술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의무를 갖는다고 보는가? 이 대답은 기술에 따라 달..

그래프 / 한붓그리기 / 인접행렬 그래프는 자료구조에 많이 응용됩니다. 경로를 탐색하는 것으로 많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고교 과정에 잠깐 편성되었다가 지금은 빠진 부분입니다. 인접행렬과 그래프를 그릴 때 방향이 고려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2번 문제의 승패는 승->패로 방향이 주어져야 합니다. 이 부분을 생각하면서 인접행렬과 그래프를 그려야 합니다. 그래프에서는 방향을 생각해서 화살표로 표시를 합니다. 화살표가 없는 경우는 양쪽으로 경로진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쌍방향).
- Total
- Today
- Yesterday
- TensorFlow
- Chatbot
- checkpoint
- LLM
- 파이썬
- programmers.co.kr
- 미분
- image depict
- 랭체인
- RAG
- 약수
- FewShot
- AI_고교수학
- multi modal
- 챗봇
- 고등학교 수학
- 변화율
- GPT
- 텐서플로우
- 미분계수
- Python
- 도함수
- programmers
- LangChain
- streamlit
- 로피탈정리
- 미분법
- prompt
- 프로그래머스
- ChatG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